본문 바로가기
한의학

한의학에서의 호흡기 질환 치료 - 천식과 기관지염

by info-space-1 2025. 3. 22.

▣ 한의학적 관점에서 본 호흡기 질환의 원인과 특징

 

천식과 기관지염은 대표적인 만성 호흡기 질환으로 기도의 염증과 점액 분비 증가로 인해 호흡 곤란, 기침, 가래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질환을 단순한 호흡기 문제로 보지 않고 폐(肺), 비(脾), 신(腎)의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한의학에서의 호흡기 질환 치료 - 천식과 기관지염

 

 

 

천식은 주로 폐기허(肺氣虛), 담습(痰濕), 신허(腎虛)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다. 폐기허는 폐의 기능이 약해져 외부 자극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는 경우이며 담습은 체내 습기가 과도하여 기도의 점액 분비가 증가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신허는 신장의 기운이 약해져 폐의 기능을 충분히 보조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기관지염의 경우 풍한(風寒), 풍열(風熱), 담습(痰濕)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풍한에 의해 발생하는 기관지염은 주로 찬 공기에 노출된 후 기침이 심해지고 가래가 맑은 특징을 보이며 풍열에 의한 기관지염은 열이 나고 가래가 노랗게 변하는 특징이 있다. 담습이 원인이 되면 기침이 오래 지속되고 가래가 끈적거리며 잘 배출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이처럼 한의학에서는 호흡기 질환을 바이러스 감염의 결과로 보지 않고 체질과 장부의 불균형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치료법도 증상을 완화하는데 그치지 않고 신체 내부의 균형을 회복하여 근본적으로 호흡기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접근한다.

 

 

▣ 한의학적 치료법 _ 침구요법과 한약 처방 

 

한의학에서는 천식과 기관지염을 치료하기 위해 침구치료(針灸治療)와 한약처방(韓藥處方)을 병행한다. 침구치료는 기혈 순환을 조절하고 호흡기의 기능을 강화하는데 효과적이며 한약 처방은 기침과 가래를 완화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침구치료에서 천식과 기관지염 환자에게 주로 사용되는 혈자리로는 폐수(肺兪), 천돌(天突), 중부(中府), 열결(列缺), 족삼리(足三里) 등이 있다. 폐수와 중부는 폐 기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며 천돌은 기도의 점액을 조절하고 가래 배출을 돕는다. 연결과 족삼리는 면역력을 높이고 호흡기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준다. 한약 처방은 환자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달라지는데 천식의 경우 마황탕(麻黃湯), 소청룡탕(小靑龍湯), 삼소음(蔘蘇飮) 등의 처방이 흔히 사용되며 기침을 완화하고 기도를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기관지염의 경우 맥문동탕(麥門冬湯), 청상보하탕(淸上補下湯), 패모산(貝母散) 등의 처방이 활용되며 가래를 제거하고 염증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뜸 치료 또한 호흡기 질환 치료에 유용하다. 뜸 치료는 경락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면역력을 강화하여 기침과 천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폐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폐수(肺兪)와 신수(腎兪) 부위에 뜸을 뜨는 것이 효과적이다.

 

 

▣ 호흡기 건강을 위한 한방 식이요법과 생활습관

 

천식과 기관지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식습관과 생활습관이 필수적이다. 한의학에서는 음식을 약재로 활용하여 몸의 균형을 조절하는 식이요법을 강조한다. 천식 환자는 폐의 기능을 강화하고 기도를 확장하는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배, 도라지, 생강, 대출 그리고 인삼 등이 있으며 특히 배즙과 도라지 차는 기침을 완화하고 가래 배출을 돕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를 보호하기 위해 자극적인 음식(매운 음식과 튀긴 음식, 인스턴트 음식) 등을 피하는 것이 좋다. 기관지염 환자의 경우 가래 생성을 줄이고 기관지를 보호하는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귤껍질(진피)과 감초, 대추, 맥문동 등이 도움이 되며 특히 감초차는 기관지 점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충분한 수분 섭취를 통해 기도의 점액을 조절하고 가래 배출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생활습관 면에서도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첫째, 실내 공기  관리가 중요하다. 미세먼지나 건조한 공기는 천식과 기관지염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가습기를 사용하여 적정한 습도를 유지하고 공기청정기를 활용하여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체온 조절을 철저히 해야 한다. 찬 공기에 노출되면 기도가 수축하여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특히 환절기에는 목을 따뜻하게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 장기적인 호흡기 질환 예방과 관리 전략

 

천식과 기관지염은 만성적으로 재발할 가능성이 높은 질환이므로 장기적인 예방 전략이 필요하다. 한의학에서는 호흡기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기혈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면역력을 강화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삼는다. 먼저, 사계절별 예방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겨울철에는 따뜻한 차(생강차, 유자차)를 마시며 기관지를 보호하고 봄철에는 꽃가루와 미세먼지를 피하는 것이 좋다. 여름철에는 과도한 냉방을 피하고 가을철에는 보습을 유지하여 기관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한방 요법으로는 한방 좌훈, 한방 차 섭취, 한방 흡입 요법 등이 있다. 좌훈은 허브 증기를 이용하여 호흡기를 직접적으로 보호하는 방법이며 한방 차는 폐 기능을 강화하고 기침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라지차, 감초차, 오미자차 등은 호흡기 건강에 유익하다. 결론적으로 한의학적 접근을 활용하면 천식과 기관지염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장기적으로 건강한 호흡기를 유지할 수 있다. 체질 개선을 목표로 하는 한의학적 치료법은 호흡기 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이 될 수 있을 것이다.